그렇다. 필자도 이미 알고 있다.
비트코인 노드* 운영은 아무짝에도 쓸모가 없다는 것, 아니 돈벌이가 되지 않는다는 것.
심지어 이런 글을 블로그에 써봤자 아무도 보지 않을 것이라는 점.
그럼에도 이 글을 쓰는 것은
첫번째로 코딩의 ㅋ자도 모르는 필자가 풀노드** 운영의 길에서 마주한 시련을 복기하기 위함이고
두번째로 혹시나 한국에서 풀노드를 운영할 사람에게 조그마한 도움이 되었으면싶어서이다.
외국 포럼에 널린 글들을 수집해서 한글로 바꿔놓은 수준이지만서도, 시작해보겠다.
코딩의 ㅋ도 모르는 필자가 쓸데없이 자세하고 상세히 써놓을 예정이므로,
전공자들에게는 송구할 따름이다.
언젠가 채굴이 전부 끝난 후, 전세계 모든 개개인이 노드를 운영할 날을 꿈꾸며..
*비트코인 노드: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개별 참여자
**풀노드: 블록체인에서 이뤄진 모든 거래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개별 참여자
비트코인의 개발자 사토시 나카모토가 만든 웹사이트에 다운로드부터 명령어까지 많은 정보가 담겨 있다.
웹사이트로 이동하여 비트코인 노드 프로그램(위 이미지 Bitcoin Core)을 다운로드 받아보자.
비트코인 - 오픈소스 P2P 화폐
Bitcoin.org is a community funded project, donations are appreciated and used to improve the website. Make a donation
bitcoin.org
노드 운영 프로그램을 다운로드받는 일은 굉장히 쉽다.
위 웹사이트의 자료 탭에서 bitcoin core를 클릭해서 Bitcoin Core 다운로드 버튼을 눌러주자.
자동으로 다운로드가 시작될 것이다.
설치가 완료될때까지 이틀가량 걸릴 것이다. 빠른 네트워크를 보유했다면 하루정도.
24년 5월 기준, 비트코인 블록***의 갯수가 80만개 정도로 많이 증가했다.
19년도 글엔 200Gb정도 다운받으면 된다 쓰여있으나 현재는 800기가 가량의 데이터를 받아야 한다.
어찌보면 블록당 용량을 1Mb로 제한한 것이 노드 운영하는 개인에게는 다행인 셈이다.
과거 블록을 검색하지 않을 것이고, 많은 용량이 부담된다면 pruning옵션****에 체크하자.
5기가정도의 용량으로 노드를 돌릴 수 있지만, Genesis Block 구경 등의 쓸데없는 일은 하지 못하게 되는 점에 유의하자.
***비트코인 블록: 거래내역 등 비트코인 블록체인의 정보들이 담긴 데이터블록.
****pruning 옵션: 용량 줄이기 옵션
1테라 가까운 데이터를 꼬박 다운로드받아서 검증하는 과정이 끝났다면 지갑만 생성하면 끝이다.
지갑 암호화를 해야 더 안전할 것이므로 체크해주자.
디스크립터 지갑은 비트코인 버전이 업그레이드되며 생긴 추가 옵션이다.
기존 지갑보다 더 좋으니 체크해주자.
위 화면을 보게 되었다면 축하한다!! 비트코인 노드 설치&운영 성공이다!
이게 끝이냐고?
그렇다. 이제 컴퓨터를 24시간 켜놓으면, 비트코인 개발자들이 정성스레 만들어놓은 위 프로그램이 알아서 노드 운영을 척척 해줄 것이다. 풀노드 운영 끝!!! 와~~~~~
물론 여기서 진짜 끝이었다면 따로 글을 쓰지 않았을 것이다.
비트코인 노드만 운영하고 싶었던 사람은 여기까지만 하고, 다음 편에서는 RPC*****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자.
*****RPC: Remote Procedure Call, 대충 비트코인 코어 프로그램에다가 명령어를 쏴주면 코어 프로그램이 처리한 결과값을 우리한테 다시 remote로 돌려보내주는 거구나 하고 생각하자.
'취미 > 비트코인 풀노드 운영' 카테고리의 다른 글
getblockhash-bitcoind RPC별 사용법 정리 (0) | 2024.05.26 |
---|---|
getblock-bitcoind RPC별 사용법 정리 (0) | 2024.05.26 |
풀노드 프로그램으로 비트코인을 채굴해보자! (2) | 2024.05.26 |
풀노드를 운영하면서 비트코인 블록들을 직접 검증해보자! (0) | 2024.05.26 |
풀노드? RPC? 생각보다 소소하게 해볼 수 있는게 많구나! (0) | 2024.05.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