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미/비트코인 풀노드 운영

초창기에 채굴된 비트코인들은 어디로 갔을까? 직접 확인해보자.

저도잘은몰라요 2024. 5. 26. 15:57
반응형

초창기에 채굴된 코인들은 누가 가지고 있을까.

물론 그거야 구글에 검색을 하거나, 블록체인닷컴에 검색을 해보면 쉽게 알 수 있다. 

하지만 그 결과들을 믿을 수 있을까? 걸핏하면 조작 뉴스가 판치는 지금같은 세상에서?

비트코인에 대한 가장 확실한 정보는 비트코인 블록체인 자체의 기록이다.

 

그러므로, 블록체인을 들여다보기 위해 비트코인 프로그램인 bitcoind를 실행시켜주자.

참고로, 미리 비트코인 프로그램을 설치해야 된다. 당신이 풀노드 운영자라면 항상 켜져있을 것이다. 

bitcoind 사용하는 방법

 

getblockhash 명령어 를 가지고 10만 안에서 자신이 원하는 아무 숫자의 블록을 선택해주자. 

24년 현재 대략 80만개의 블록이 있는데, 10만개 정도가 초기채굴분량이다.

초기채굴 블록에서 생성된 대부분의 비트코인들은 놀랍게도 사용되지 않고 먼지만 쌓여가는 상태로 남아있다.

이후에 채굴된 것은 수많은 사람들에 의해 팔리고 사용되며 전송되어버린 상태이므로, 조회하는 일이 무의미하다.

필자는 99999번째 블록을 선택하도록 하겠다.

 

조회결과, 99999번째 블록의 해시값은

000000000002d01c1fccc21636b607dfd930d31d01c3a62104612a1719011250 가 나온다.

getblock이라는 명령어로 해당 블록의 자세한 정보들을 얻어내보자.

getblock 명령어 사용법

 

bitcoin-cli getblock 000000000002d01c1fccc21636b607dfd930d31d01c3a62104612a1719011250 2

를 타이핑해 넣으면

 

 

이와같이 scriptPubKey "desc" 값을 찾을 수 있다. 

찾아낸 desc(디스크립터) 값을 deriveaddresses명령어에 넣어서 주소를 알아낼 수 있다.

deriveaddresses 명령어 사용방법

 

 

99999번째 블록을 생성한 보상인 50 BTC가 1XPLDXBheQyN2JCujEYTdHHxz66i3QJJA 주소로 전송된 것을 알 수 있다. 

 

동일한 방법으로 170번 블록에 대해서 조회해볼 수 있다. 

170번 블록은 처음으로 비트코인의 트랜잭션이 이뤄진 블록으로, 개발 초창기에 사토시 나카모토가 조언자 할 피니에게 시험삼아 전송한 비트코인이 기록된 블록이다. 명령어를 쳐보자.

 

bitcoin-cli getblockhash 170

출력값: 00000000d1145790a8694403d4063f323d499e655c83426834d4ce2f8dd4a2ee

 

bitcoin-cli getblock 00000000d1145790a8694403d4063f323d499e655c83426834d4ce2f8dd4a2ee 2

출력값:

 

 

채굴보상으로 비트코인 50개가 생성되었을 때 디스크립터 값은 pk(04d46c4968bde02899d2aa0963367c7a6ce34eec332b32e42e5f3407e052d64ac625da6f0718e7b302140434bd725706957c092db53805b821a85b23a7ac61725b)#pezndevg이다. 

deriveaddresses 명령어와 해당 디스크립터 값으로 50개의 비트코인이 전송된 주소를 알아보자. 

deriveaddresses 명령어 사용방법


170번째 블록을 생성해낸 것에 대한 보상 50개는 우선 

 

1PSSGeFHDnKNxiEyFrD1wcEaHr9hrQDDWc 로 전송되었다.


다음, 파란색 박스로 표시한 10개의 비트코인은 어디로 갔을까?

 

 

1Q2TWHE3GMdB6BZKafqwxXtWAWgFt5Jvm3 로 전송되었다. 이는 할 피니의 주소이다. 


마지막으로, 할 피니의 10개를 뺀 40개의 비트코인이 남아있는 주소는 어디일까?

 

 

12cbQLTFMXRnSzktFkuoG3eHoMeFtpTu3S 임을 알 수 있다.

 

헷갈리지 말아야 할 것은 막 채굴해낸 따끈따끈한 170번째 비트코인 50개 중 10개를 할피니에게 전송한 것이 아니란 점. 

할피니에게 전송한 10개의 비트코인은 9번 블록의 채굴보상 비트코인이다. 

 

9번 블록을 getblockinfo와 deriveaddress로 조회해보면 바로 위 사진의 desc값과 똑같은pk(0411db93e1dcdb8a016b49840f8c53bc1eb68a382e97b1482ecad7b148a6909a5cb2e0eaddfb84ccf9744464f82e160bfa9b8b64f9d4c03f999b8643f656b412a3)#u7qfa49l 값과

12cbQLTFMXRnSzktFkuoG3eHoMeFtpTu3S 주소가 나오는 것을 볼 수 있다.

그저 해당 비트코인의 전송내역이 170번째 블록에 기록된 것 뿐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