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미/식물

아레카야자는 사실 공기정화식물 1위가 아니다?

저도잘은몰라요 2022. 5. 26. 10:48
반응형

 

 

탐구의 발단은 아레카야자와 테이블야자의 차이점이 궁금해져서였다. 

아레카야자를 검색하다 보니 뉴스, 블로그 등에 적힌 '공기정화식물 1위 아레카야자' 라는 문구가 눈에 띈다.

.

.

.

과연 진짜일까? 

 

NASA 가 연구했다고 하니 믿음이 가고, 거실에 아레카야자 한그루 놓아드리고 싶은 욕심이 생긴다. 

그러나 필자의 지갑은 그렇게 쉬이 열리지 않는다. 그냥 돈이 없는거잖아

 

바야흐로 정보화시대, 잡다한 정보들 속에서 옥석을 가려보자. 

나사 공기정화식물 50위 따위로 통칭되는 잡다한 블로그 글들의 출처를 거슬러올라가면

1989년에 진행된 "NASA Clean Air Study"논문이 있다. 

논문의 제목은 "Interior Landscape Plants for Indoor Air Pollution Abatement"

번역하면 "실내 공기오염 저감을 위한 실내조경용 식물" 정도가 되겠다. 

 

 

그러나 이 논문에는 공기정화식물 1등 따윈 적혀있지 않다. 

애초에 저 논문에 아레카야자가 등장하지도 않는다.

bamboo palm에 대해선 후술

왜냐니, 논문이기 때문이다. 

공기 정화라는 것은 변수가 단 하나인 '반에서 제일 키 큰 아이 선발하기'와는 다르다. 

좀더 자세히 알아보자. 

 

실내공기오염물질의 종류

 

위의 수십가지 오염물질 중 뭘 제일 잘 제거해야 공기정화 1등의 자리를 차지할 수 있을까?

오염물질이 한 가지라면, 제거성능 1위 식물을 자신있게 말할 수 있겠지만

지금 보듯이 실내 대기를 오염시키는 물질들은 한두개가 아니다. 

법령으로 정하는 대기오염물질 중 실내공기오염물질만 해도 1. 미세먼지, 2. 이산화탄소, 3. 포름알데히드, 4. 총부유세균, 5. 일산화탄소, 6. 이산화질소, 7. 라돈, 8. VOCs, 9. 석면, 10. 오존, 11. 초미세먼지, 12. 곰팡이, 13. 벤젠, 14. 톨루엔, 15. 에틸벤젠, 16. 자일렌, 17. 스티렌

이렇게나 많은 종류가 있다. 

포름알데히드를 더 잘 없애는 식물과 톨루엔을 더 잘 없애는 식물이 서로 다르고

자일렌, 스티렌을 잘 없애는 식물과 일산화탄소를 잘 없애는 식물이 또 다르다.

무턱대고 1위를 선정해버릴 수가 없는 것이다. 

...

..

 

그럼 사람들이 1위라고 말하는건 대체 뭔데?

 

바로 이 책이다. 아까 본 NASA 논문의 저자인 Bill Wolverton씨가 쓴 책이다. 

Wolverton씨는 논문을 쓴 이후, 공기정화와 식물에 깊은 감명을 받은 것이 틀림없다. 

아마 돈이 된다는 것도 알았을 것이다. 

한국으로만 한정해도 각기 다른 제목 3가지로 5년마다 책을 신나게 찍어냈기 때문이다.

("사람을 살리는 실내공기정화식물 50", "새집증후군을 치유하는 실내공기정화식물 50", "미세먼지 잡는 공기정화식물 55가지" 역자도 동일하며, 대학 도서관에서 확인해본 결과 내용은 토씨하나 틀리지 않고 같다. 아마 역자도 돈 좀 만졌을 것으로 생각된다.) 

 

 

아무래도 이게 NASA선정 1위니 50위니 하는 글들의 진짜 출처로 보인다. 

1위 선정 기준이 정확한 데이터로 나타나기보다는 다소 모호한 것을 알 수 있다. 

이것보단 농촌진흥청에서 최신 장비를 가지고 선정한 공기정화식물 데이터가 훨씬 정확하다. 

농촌진흥청 실내공기정화식물.PDF
7.70MB

포름알데히드 한정 공기정화 식물 1위는 양치식물인 '고비'였다. 

톨루엔은 이끼류가 압도적이었다. 우산이끼가 1위이다. 

자일렌 제거효율 1위는 호야 였으며, 

음이온 발생량은 벵갈고무나무가,

상대습도 증가량은 장미허브, 

일산화탄소 제거량은 스킨답서스(통칭 스킨답서스. 에피프레넘 아우레움으로 추정)

이산화탄소 제거량은 소나무가 각각 1위를 차지했다. 

 

Bamboo palm에 대한 내용, 아레카야자와 테이블야자의 차이점 등은 너무 길어져서 분리하도록 하겠다. 

2022.05.25 - [식물] - 아레카야자와 테이블야자의 차이점에 대하여 (+NASA 논문에 아레카야자 대신 나오는 Bamboo palm은 뭘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