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 글: https://problemsolving.tistory.com/55
식물 LED바 분석에 대한 짧은 글 1
아마 LED바를 사려고 마음먹은 분이라면 직접 만들기가 굉장히 복잡하겠구나 하고 느끼실 거에요. 어댑터니 pcb니 방열판이니 안정기니 하는 수십가지 DIY 부품과 5050, LM301H, EVO... 여러 LED를 검색
problemsolving.tistory.com
LED바 구매는 몹시 복잡해 보이지만 딱 두가지만 기억하면 됩니다.
원재료(LED칩)는 전부 대동소이하다는 것,
납땜 등 인건비가 들어간 완성품보다 조립품이 훨씬 더 싸다는 것이요.
단, LED칩은 식물 전용으로 개발된 제품이어야 해요.
일반 LED는 값이 더더욱 싸지만, 광량만 높고 식물이 잘 자라지는 않을 거에요.
이전 글에서도 말씀드렸지만 LED바를 구성하는 필요 부품은 이게 끝입니다. 정말 별거 없죠?
각기 이름은 위에서부터 시계방향으로 LED바(pcb형), 어댑터(24W / 12V), 어댑터 연결잭입니다.
납땜이 필요한 부분은 어댑터 연결잭과 LED바의 사이입니다.
검은 선은 마이너스, 흰 선은 플러스에 각각 납땜해줍니다.
참 쉽죠?
불이 잘 들어옵니다.
여기서 LED바의 갯수를 늘리고 싶다면, 두 가지를 염두에 두셔야 합니다.
어댑터의 용량, 여분의 전선이 바로 그것입니다.
먼저 어댑터의 용량입니다. LED바는 1개당 8W가량의 전기를 먹습니다.
때문에 6개를 일렬로 주욱 연결하고 싶다면 48W이상의 어댑터를 구매해야 하죠.
당연히 식물LED바 판매처에서는 60W 어댑터를 팔고 있습니다.
LED바의 갯수를 늘리고 싶다면, 여유로운 용량을 사는 게 좋겠죠.
두번째로는 여분의 전선입니다.
전선을 가지고 LED바의 끝과 끝에 있는 플러스 마이너스 극을 서로 이어서 납땜해주면 끝입니다.
남는 전선이 없다면 식물등 판매처에서 위와 같은 연결선을 사서 납땜해줄 수 있습니다.
6개보다 더 연결하고 싶다면 어댑터가 아닌 안정기를 구매하시면 됩니다만,
취미 수준에서는 안정기를 살 필요는 없을 거에요.
어댑터를 두개 사면 되니까요!!?!?
마지막으로 방열판이 필요하다면 방열판과 PC커버, 마개를 주문해서 뚜껑을 덮어줍니다.
.
.
.
네 끝입니다. 정말 별거 없죠!?!?!?
그럼 여러분의 식물등 구매에 도움이 되었기를 바라며...^^..
50cm LED바 1개를 설치한 비포 애프터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취미 > 식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식물 LED바 분석에 대한 짧은 글 1 (2) | 2022.12.24 |
---|---|
아레카야자는 사실 공기정화식물 1위가 아니다? (0) | 2022.05.26 |
아레카야자와 테이블야자 구별법 (+NASA 논문에 아레카야자 대신 나오는 Bamboo palm은 뭘까) (2) | 2022.05.25 |
뿌리파리 방제용 농약에 관한 소소한 고찰(feat.농약안전정보시스템 PLS) (0) | 2022.05.20 |
뿌리파리 전쟁수행록- 왕겨멀칭과 과산화수소수의 효과에 대하여 (0) | 2022.04.23 |